굿이란?

본문

위・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
    • 선색
    • 실선
    • 점선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1px
    • 2px
    • 3px
    • 4px
    • 5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bottom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4px
    • 8px
    • 10px
    • 12px
    • 16px
    • 20px
    • 30px
    • 1.3em
    • 1.5em
    • 2em
    • 2.2em
    • 2.5em
    • 3em
 굿의종류
       
위・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
    • 선색
    • 실선
    • 점선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1px
    • 2px
    • 3px
    • 4px
    • 5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bottom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4px
    • 8px
    • 10px
    • 12px
    • 16px
    • 20px
    • 30px
    • 1.3em
    • 1.5em
    • 2em
    • 2.2em
    • 2.5em
    • 3em
나라굿
- 나라굿은 왕가의 주문에 의해 행하던 굿이다.
이 나라굿을 맡아 하던 무당을 나라무당 또는 국무(國巫)라 불렀다.

신련기자굿
- 이 굿은 무당이 오로지 스스로 위하여 하는 굿이다.

천신굿
- 계절의 새로운 과일을 신령에게 바치며 재수를 기원한다. 상류층이나 부유층이 이런 굿을 벌일 때 그것을 점잖게 천신굿이라 부른다.

재수굿
- 같은 굿이 하층민이나 빈곤층에 속한 사람들에 의해 개최되면 그것은 재수굿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.

진오기굿
- 망자를 위한 이 굿은 한국에서 재수굿에 비하여 사회적으로 훨씬 더 강하게 분화되어 규모가 서로 다른 세가지 형태의 굿으로 발전하여 왔다.

용신굿
- 용신을 위해 벌이는 굿은 강이나 바다에서 배를 타고 진행된다.

성주받이굿
- 남자아이는 한국 가정에서 종종 집의 대들보에 비교되고 집안의 장래의 기반으로 여겨진다. 따라서 어느 집안이고 남자아이 가지기를 내심 깊이 바라고 있으며, 그 목적을 위해 이 성주 받이 굿이 거행된다.
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
       
위・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
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
    • 선색
    • 실선
    • 점선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1px
    • 2px
    • 3px
    • 4px
    • 5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bottom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4px
    • 8px
    • 10px
    • 12px
    • 16px
    • 20px
    • 30px
    • 1.3em
    • 1.5em
    • 2em
    • 2.2em
    • 2.5em
    • 3em
나라굿
- 나라굿은 왕가의 주문에 의해 행하던 굿이다. 이 나라굿을 맡아 하던 무당을 나라무당 또는 국무(國巫)라 불렀다.

신련기자굿
- 이 굿은 무당이 오로지 스스로 위하여 하는 굿이다.

천신굿
- 계절의 새로운 과일을 신령에게 바치며 재수를 기원한다. 상류층이나 부유층이 이런 굿을 벌일 때 그것을 점잖게 천신굿이라 부른다.

재수굿
- 같은 굿이 하층민이나 빈곤층에 속한 사람들에 의해 개최되면 그것은 재수굿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.

진오기굿
- 망자를 위한 이 굿은 한국에서 재수굿에 비하여 사회적으로 훨씬 더 강하게 분화되어 규모가 서로 다른 세가지 형태의 굿으로 발전하여 왔다.

용신굿
- 용신을 위해 벌이는 굿은 강이나 바다에서 배를 타고 진행된다.

성주받이굿
- 남자아이는 한국 가정에서 종종 집의 대들보에 비교되고 집안의 장래의 기반으로 여겨진다. 따라서 어느 집안이고 남자아이 가지기를 내심 깊이 바라고 있으며, 그 목적을 위해 이 성주 받이 굿이 거행된다.
       
위・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
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
    • 선색
    • 실선
    • 점선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1px
    • 2px
    • 3px
    • 4px
    • 5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right
    • bottom
    • left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all
    • top
    • bottom
    • 0px
    • 5px
    • 10px
    • 15px
    • 20px
    • 25px
    • 30px
    • 35px
    • 40px
    • 4px
    • 8px
    • 10px
    • 12px
    • 16px
    • 20px
    • 30px
    • 1.3em
    • 1.5em
    • 2em
    • 2.2em
    • 2.5em
    • 3em
마마배송굿
- 천연두 걸리면 13일째 되는 날 환부에 딱지가 생기면서 병이 끝난다. 이날 마마신을 공손히 돌려 보내는 굿이 벌여진다.

병굿
- 병이 났을 때 하는 굿이라는 것은 다 아는 일이지만 상류층이 이런 굿을 할 때는 그것을 점잖게 표현하여 우환굿이라 부르고, 반면 하층민의 병굿은 푸닥거리라고 한다.

도당굿
- 한국의 모든 마을에는 수호신을 모시는 제단이나 무당의 당집이 있다. 마을의 주민들은 마을 수호신 덕분에 그들이 평안한 생활을 영위하고 믿는다. 그에 따라 대개 한 해 걸러 한번 씩 마을 수호신을 위해 제상을 차려 놓고 음악과 춤으로 신령을 기쁘게 해드린다.

풍농굿
- 풍년을 비는 굿이다. 논에는 논보다 좀 높게 땅을 돋우어 놓고 나무가 있는 그런 곳이 으레 있기 마련이다. 풍농굿은 바로 그런 곳에서 진행된다.

천존굿
- 비를 구하는 기우제 뿐만 아니라 역병, 재앙, 천재지변, 병충해 등이 전국에 돌 때 왕궁에 의해 베풀어지는 굿들이 이 범주에 든다.

여탐굿
- 환갑이나 결혼식 같은 집안의 기쁜 일을 조상에게 알리는 굿이다. 이 굿은 오늘날 전통적인 단골 집안에서나 겨우 볼 수 있다.